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일용직 4대보험 가입기준 정리
    직장인생활백서 2020. 11. 26. 21:06
    반응형

    이번에 알아볼 내용은 일용직 4대보험 가입기준이 어떻게 되는지에 관해서입니다. 회사에서 일을 하다보면 일용직 근로자분들에게 도움을 받아야할 때가 있습니다. 또한 내가 일용직 근로자가 되어 일을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. 저희회사같은 경우도 용역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. 늘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.



    용역을 고용하여 같이 일을 하는 경우 가입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야 업무를 처리할 때 실수없이 할 수 있습니다. 또한 본인이 일용직으로 일을 하고 난 뒤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. 그래야 처리가 잘못됐을 경우 시정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. 아는 것과 모르고 있는 것과는 정말 차이가 큽니다. 먼저 일용직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고 일용직 4대보험 가입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업무에 도움이 되기 바라겠습니다.



    일용직이란?

   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하루를 단위로 근로계약을 하여 일을 하는 비정규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 또한 1개월 미만의 고용기간을 가진 근로자도 포함됩니다.



    일용직 4대보험 가입기준


    1. 고용/산재보험

      - 의무 가입


    2. 국민연금, 건강보험 

      - 한 달 이상 근무하거나 월 근로일수가 8일 이상이면 가입 대상입니다. 또한 월 60시간 이상 근무자는 단기간  근로자로 분류가 되며 근로일수가 8일 이상 또는 월 60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 국민연금 가입 대상이 됩니다.




    일용직 4대보험 가입기준 알아보았습니다. 신고 업무 잊지 말고 진행하기 바라겠습니다. 업무가 늦어져 제출하지 못하게 되면 지금액의 2%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 회사에서 싫어하는 일은 안하는게 좋겠죠. 저도 업무 늦장부리다 깜빡하는 경우들이 종종 있는데 지금은 메모하는 습관을 길러서 전보다는 많이 개선됐습니다.
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